합동참모본부는 하마스가 최근 이스라엘을 기습공격하면서 보여준 방식을 분석한 결과 무기 거래, 전술교리, 훈련 등 여러 분야에서 북한과 직간접적으로 연계돼 있으며, 하마스가 사용한 방법을 북한이 대남 기습공격에 활용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 고위관계자는 17일 언론설명회에서 “북한이 다양한 무기를 중동국가 및 무장단체에 수출해온 정황이 지속 식별되고 있다”면서 “하마스의 대전차 무기 ‘F7’은 북한이 ‘RPG7’을 수출할 때 사용하는 명칭”이라고 설명했다. 군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이스라엘 인근 국경지대에선 하마스와 연계된 무장단체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포탄이 발견됐는데, 탄두 부분에는 122㎜ 방사포탄을 뜻하는 ‘방-122’란 글자가 적혀 있었다.
합참은 휴일 새벽 시간을 이용한 기습공격, 대규모 로켓 발사를 통한 ‘아이언돔’ 방공망 무력화, 드론 공격을 이용한 분리장벽 감시·통신·사격통제체계 파괴 등이 북한의 ‘비대칭 공격 양상’과 유사하다고 분석했다. 관계자는 “북한이 하마스에 전술교리를 전수하거나 훈련을 지원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추정했다. 그는 “북한이 하마스와 직접 교류한 건 파악된 건 아니다”면서도 “북한이 하마스와도 연관된 이란, 시리아, 레바논 무장조직 헤즈볼라 등과 최근까지 활발하게 군사 교류를 해온 게 식별됐다”고 했다.
합참은 우리 군이 최전방에 설치한 과학화경계시스템을 극복하기 위해 북한이 개발해온 패러글라이더 등을 활용한 공중 침투 기법을 하마스에 전수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평가했다. 관계자는 “북한이 향후 이번에 효과를 본 하마스식 기습공격 전술을 유사시 대남 공격에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대응방안을 체계적으로 보완·발전시켜가겠다”고 밝혔다.
합동참모본부 고위관계자는 17일 언론설명회에서 “북한이 다양한 무기를 중동국가 및 무장단체에 수출해온 정황이 지속 식별되고 있다”면서 “하마스의 대전차 무기 ‘F7’은 북한이 ‘RPG7’을 수출할 때 사용하는 명칭”이라고 설명했다. 군 관계자에 따르면 최근 이스라엘 인근 국경지대에선 하마스와 연계된 무장단체에서 사용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포탄이 발견됐는데, 탄두 부분에는 122㎜ 방사포탄을 뜻하는 ‘방-122’란 글자가 적혀 있었다.
합참은 휴일 새벽 시간을 이용한 기습공격, 대규모 로켓 발사를 통한 ‘아이언돔’ 방공망 무력화, 드론 공격을 이용한 분리장벽 감시·통신·사격통제체계 파괴 등이 북한의 ‘비대칭 공격 양상’과 유사하다고 분석했다. 관계자는 “북한이 하마스에 전술교리를 전수하거나 훈련을 지원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추정했다. 그는 “북한이 하마스와 직접 교류한 건 파악된 건 아니다”면서도 “북한이 하마스와도 연관된 이란, 시리아, 레바논 무장조직 헤즈볼라 등과 최근까지 활발하게 군사 교류를 해온 게 식별됐다”고 했다.
합참은 우리 군이 최전방에 설치한 과학화경계시스템을 극복하기 위해 북한이 개발해온 패러글라이더 등을 활용한 공중 침투 기법을 하마스에 전수했을 가능성도 있다고 평가했다. 관계자는 “북한이 향후 이번에 효과를 본 하마스식 기습공격 전술을 유사시 대남 공격에 활용할 가능성이 있다”며 “대응방안을 체계적으로 보완·발전시켜가겠다”고 밝혔다.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하마스가 이스라엘의 수도 텔아비브와 예루살렘에 미사일을 발사했다고 AFP·로이터통신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로이터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