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전 찬반단체 투표결과 ‘아전인수’…정부 “후속조치 추진”

원전 찬반단체 투표결과 ‘아전인수’…정부 “후속조치 추진”

입력 2015-11-13 14:19
업데이트 2015-11-13 14:1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주민들 지역발전 염원 확인” vs “반대표 던진 의사 존중”

산업통상자원부는 13일 영덕 원전유치 주민 찬반투표와 관련해 “투표 결과를 인정할 수 없다”며 “이제 천지원전 건설을 위해 토지보상 협의 등 후속조치를 계획대로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그러나 원전유치 반대 단체는 “투표자 90% 이상이 던진 반대표를 존중해 원전건설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고 찬성 단체는 “투표요건 미달로 효력을 상실했다”고 맞서며 갈등을 빚고 있다.

반핵단체들로 구성된 영덕핵발전소유치 찬반 주민투표 관리위원회(투표관리위)는 이틀간 찬반 투표를 실시했다.

전체 유권자 3만4천432명 가운데 1만1천201명이 투표해 32.5%의 투표율로 주민투표법을 준용해도 전체 유권자 3분의 1 이상 투표 요건을 충족하지 못했다.

개표 결과를 보면 유효투표수 1만1천139표 가운데 ‘원전유치 반대’가 91.7%(1만274표), ’원전유치 찬성' 7.7%(865표), 무효표가 0.6%(70표)로 나타났다.

하지만 이를 두고 원전유치 찬성 단체인 영덕천지원전추진특별위원회(원전추진특별위)는 “지역발전에 대한 주민 염원을 확인한 당연한 결과다”며 “투표 과정에서 나온 불공정과 부도덕 행위를 규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원전추진특별위와 투표관리위가 각각 집계한 투표자 수가 1천800여명 이상 차이가 나 대리투표와 이중투표 의혹이 있어 투표인 명부 등 투표과정에 모든 자료를 공개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반핵단체인 영덕핵발전소반대 범군민연대는 성명서에서 “1만 5천여 군민의 서명이 없었다면 이번 투표를 하지 못했을 것이다”며 “지역문제를 스스로 해결하기 위한 군민의 승리다”고 강조했다.

또 “국민의 정당한 의사 표현이자 권리인 투표를 통해 영덕 미래를 지키고자 하는 뜻을 확인한 만큼 앞으로도 원전건설 백지화를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게다가 찬반 단체 사이에 투표자 수 차이, 투표인 명부 수, 현수막 훼손 등을 놓고 공정성 시비가 끊이지 않고 있다.

원전추진특별위는 13일부터 투표비리제보센터를 운영하고 조만간 법원에 주민투표관리위의 투표인 명부에 대해 증거보전 신청을 하기로 했다.

이완섭 원전추진특별위 기획홍보팀장은 “잘못된 목적 달성을 위한 엉터리 투표로 주민들을 호도하지 말라”며 “투표인 명부 등 모든 자료를 보존해 공개적으로 검증받아야 할 것이다”고 말했다.

정부는 2012년 9월 영덕을 원전건설 예정구역으로 지정·고시했다. 2026∼27년에 원전 2기가 들어설 예정이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