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영삼 前대통령 주치의 오병희 서울대병원장 문답

김영삼 前대통령 주치의 오병희 서울대병원장 문답

입력 2015-11-22 03:19
업데이트 2015-11-22 03:2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YS 서거 소식 전하는 오병희 서울대병원장
YS 서거 소식 전하는 오병희 서울대병원장 오병희 서울대병원장이 22일 오전 서울 종로구 연건동 서울대병원에서 김영삼 전 대통령의 서거 소식을 전하고 있다. 김 전 대통령은 이날 0시 22분 서울대병원에서 혈액감염 의심 증세로 치료를 받던 중 숨을 거뒀다. 2015.11.22
연합뉴스
22일 서거한 김영삼 전 대통령의 주치의인 서울대병원 오병희(62) 원장은 “심장 혈관이 좁아지는 등의 지병에 패혈증과 같은 급성 스트레스가 겹쳐 심장이 함께 악화돼 김 전 대통령이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오 원장은 이날 오전 2시 서울대병원 대한의원 회의실에서 긴급 기자회견을 하고 이같이 밝혔다.

오 원장에 따르면 김 전 대통령은 2013년 4월부터 2014년 10월까지 반신불수를 동반한 중증 뇌졸중과 폐렴으로 18개월간 입원한 바 있다.

김 전 대통령은 지난 19일 낮 12시께 고열로 이 병원에 다시 입원했으며 상태가 악화돼 21일 오후 중환자실로 이송돼 치료를 받았으나 결국 서거했다.

오 원장은 직접적인 사인은 “허약한 전신 상태에 패혈증과 급성 심부전이 겹쳐 일어난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음은 오 원장과의 일문일답.

-- 지병 때문인가.

▲ 원래 심장 혈관이 좁아지고 막힌 부분이 있어서 과거 수차례 시술을 받았다. 여기에 패혈증과 같은 급성 스트레스가 겹치면서 심장이 함께 악화돼 사망한 것으로 보인다. 원래 스탠스 시술도 받았고 혈관 병이 많았다. 뇌졸중도 결국 혈관이 막혀서 생긴 병이다. 지병이 악화돼 사망한 것으로 본다.

-- 가족들은 임종을 봤나. 손명순 여사는 왔나.

▲ 가족 다 오셨다. 영부인은 못 본 것 같아 내가 확인을 못해드리겠다.

-- 김현철씨는 있었나.

▲ 있었다.

-- 장례 일정은.

▲ 병원에서 관여할 문제가 아니다. 가족과 당국에서 알아서 할 것이다.

-- 서거하기 전에 의식이 명료했던 최근 시점이 언제인가.

▲ 병원에 입원할 때까지 어느 정도 의식은 있었다. 갑자기 많이 악화돼서 입원하게 됐다.

-- 중환자실에 들어갈 때는 의식이 없었나.

▲ 의식의 정도는 판단에 따라 수준이 다를 수 있다. 그때는 정상적인 판단이 안 된다고 봐 중환자실로 옮겼다.

-- 병원은 이 같은 상황을 예측했나.

▲ 3∼4년 내가 봐드렸지만… 워낙 고령이고 중증 질환이 반복됐기 때문에 이런 상황이 올 수 있는 상황이었다. 뇌졸중은 2008∼2009년부터 작은 뇌졸중이 있었다. 가장 큰 뇌졸중은 2013년 4월에 있었다. 이후 18개월 정도 입원했고 그 후에는 통원치료를 했다. 상황에 따라 입원하기도 했으며 내가 직접 진료를 봤다.

-- 이번 입원 때에는 특별한 시술이나 수술을 한 것이 있나.

▲ 이번에는 없었다.

-- 고열이라고 했는데 그 외 다른 증상이 있었나.

▲ 고열에 동반된 호흡곤란 증상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

-- 중환자실에 계속 있나.

▲ 일단은 장례식장으로 옮긴 것으로 안다.

-- 서거 직전에 누가 곁에 있었나.

▲ 나를 포함한 의료진들과 가족들이 있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고 맞섰고,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로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