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 前대통령 서거한 새벽 급박하게 움직인 서울대병원

김 前대통령 서거한 새벽 급박하게 움직인 서울대병원

입력 2015-11-22 06:52
업데이트 2015-11-22 06: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새벽 2시 긴급 브리핑…장례식장 1호실에 빈소 차려져

한국 정계의 거목 김영삼 전 대통령이 22일 새벽 서거한 장소인 서울 종로구 서울대병원은 정적 속에서 급박하게 움직였다.

전날 밤늦은 시각부터 김 전 대통령이 위중한 상태로 중환자실에서 치료 중이라는 말들이 돌기 시작했고 병원에는 김 전 대통령 측 관계자들이 모이기 시작했다.

병원도 직원을 배치해 외부인의 중환자실 출입을 통제했고, 일부 병원 직원들이 급박하게 중환자실로 뛰어들어가는 모습도 목격됐다.

그러다 이날 0시 46분 김 전 대통령이 끝내 서거했다는 소식이 보도를 통해 알려지자 병원에는 비상이 걸렸다.

즉시 새벽 2시에 김 전 대통령의 주치의인 오병희 병원장이 직접 서거 상황과 관련한 브리핑을 연다는 공지가 언론사에 전달됐다.

삽시간에 언론사 취재진이 새벽 공기를 가르며 병원에 도착해 취재 경쟁을 벌였고, 김 전 대통령 서거 소식은 국내를 넘어 외신을 통해 외국에도 전파됐다.

가족들은 논의 끝에 이 병원 장례식장 1호실에서 장례를 치르기로 하고 고인의 시신을 중환자실에서 장례식장으로 옮겼다.

면적이 500㎡에 달해 이 병원에서 가장 큰 빈소인 1호실은 김 전 대통령의 영정이 모셔지고 곧바로 문이 잠기고 외부인들의 출입이 통제됐다.

유리문 너머로 침통한 표정으로 장례 절차를 논의하는 김 전 대통령의 친지 등 관계자들의 모습이 보였다.

아들 현철씨는 임종을 한 것으로 전해졌으나 병원이나 장례식장에서 그의 모습을 볼 수는 없었다. 손명순 여사는 이날 병원에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유명 정치인 출신 중에는 김영삼기념사업회 이사장인 김수한 전 국회의장이 가장 먼저 모습을 보였다.

김 이사장은 “김 전 대통령과의 기억이 산더미 같다”며 “김 전 대통령 기념관 건립 문제 등을 맡아 하고 있어 며칠 전에도 만났는데 이렇게 갑자기 가실 줄 몰랐다”며 한숨을 내쉬었다.

김 이사장은 “입퇴원을 계속하셨으니 걱정은 했으나 이렇게 갑작스럽게 부고를 접할 줄은 몰랐다”며 “가족들도 마음의 준비를 전혀 못하신 듯하다”고 덧붙였다.

곧 장례식장 앞에 설치된 전광판에 김 전 대통령의 빈소 정보가 떴다.

1호실의 고인 란에는 김 전 대통령의 이름이, 상주 란에는 그의 가족들의 이름이 나타났다. 발인은 26일이라는 문구도 함께 나왔다.

빈소 앞에는 방명록이 놓여 김 전 대통령의 가는 길을 애도할 조문객들을 맞을 준비를 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