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해력 부족’ 성인 146만명…새달부터 온라인 자가 진단 생긴다

‘문해력 부족’ 성인 146만명…새달부터 온라인 자가 진단 생긴다

김지예 기자
김지예 기자
입력 2025-01-16 15:01
수정 2025-01-16 15:0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2025년 성인 문해교육 지원사업 발표
‘햇살 버스’·디지털 문해력 서비스 확대

이미지 확대
연합뉴스
연합뉴스


다음달부터 만 18세 이상 성인 누구나 자신의 읽기·쓰기·셈하기 실력을 측정해 볼 수 있는 문해력 자가 진단 서비스가 시작된다. 일상생활에 필요한 문해력을 기를 수 있도록 올해부터 ‘생활 문해교육 프로그램’도 운영된다.

교육부는 온라인 자가 진단 서비스를 포함한 ‘2025년 성인 문해교육 지원사업’을 진행한다고 16일 밝혔다.

자가 진단 서비스는 오는 2월부터 국가문해교육센터 홈페이지(le.or.kr)에서 할 수 있다. 성인 누구나 이 자신의 기초 문해력을 스스로 진단하고, 수준에 맞는 학습자료와 교육과정을 추천받을 수 있다. 3년 주기로 실시하는 성인 문해 능력 조사 문항을 온라인으로 제공해 누구든 문해력 수준을 확인해 볼 수 있게 했다. 교육부에 따르면 일상생활에 필요한 읽기·쓰기·셈하기가 불가능한 18세 이상 성인 인구는 약 146만 명으로 전체 성인의 3.3%를 차지한다.

일상생활에 필요한 문해력을 기를 수 있도록 올해부터 ‘생활 문해교육 프로그램’도 신설한다. 비문해·저학력 성인들이 금융이나 교통, 건강 등 여러 지식과 정보를 쉽게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프로그램이다. 예를 들어 ‘생활수학’ 영역에선 계약서나 고지서를 읽는 방법을 알려준다.

디지털 문해교육 서비스 ‘한글햇살 버스’도 기존 3개소에서 5개소 내외로 확대해 운영하기로 했다. 한글햇살 버스는 거주지 내 복지관 등에서 무인안내기(키오스크)나 스마트폰 배달 애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음식 주문 등 디지털 기기 활용 방법을 알려주는 서비스다.

성인 문해교육 지원사업은 비문해·저학력 성인에게 문해교육 기회를 제공하기 위해 2006년부터 시작됐다. 올해는 전년(67억 3200만원) 대비 4.6% 늘어난 70억 4400만원의 예산을 투입한다.

디지털 기기 사용에 어려움을 겪는 고령층이 많다는 지적이 나온 가운데 교육부는 성인의 디지털 문해능력 수준을 측정하는 ‘제1차 성인디지털문해능력조사’를 실시했다. 전국 성인 1만명을 대상으로 한 조사 결과는 오는 9월 발표된다. 최은희 교육부 인재정책실장은 “디지털·금융·건강 등 문해교육 영역을 확대하면서 문해교육이 필요한 대상을 적극적으로 찾아 나가겠다”고 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의 축의금 얼마가 적당한가?
결혼시즌을 맞이해 여기저기서 결혼소식이 들려온다. 그런데 축의금 봉투에 넣는 금액이 항상 고민이다. 최근 한 여론조사에 의하면 직장동료의 축의금으로 10만원이 가장 적절하다는 의견이 가장 높았다. 그러면 교류가 많지 않고 친하지 않은 직장동료에게 여러분은 얼마를 부조할 것인가요?
1. 10만원
2. 5만원
3. 3만원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