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자에 강했던 ‘사법 엘리트’… 입법 로비·재판 거래로 무너졌다

약자에 강했던 ‘사법 엘리트’… 입법 로비·재판 거래로 무너졌다

김헌주 기자
김헌주 기자
입력 2019-01-25 01:08
수정 2019-01-25 01:21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양승태, 영욕의 42년 법관 인생

“너무 완벽한 게 흠” “체제에 순응적 성향”
법원행정처 경력만 8년… 승진 코스 개척
청문회때 “권력분립, 민주주의 징표”
언행 불일치가 국가적 불행으로 이어져

유신시절 ‘긴급조치 유죄 판결’로 논란
여성단체 “인권 감수성·약자 이해 부족”
71번째 생일 앞두고 수감자 신세로 전락
이미지 확대
2011년부터 2017년까지 6년간 사법부를 이끌었던 양승태 전 대법원장이 24일 사법행정권 남용 혐의로 구속됐다. 양 전 대법원장은 지난 2011년 9월 청와대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임명장을 받고 대법원장의 역할을 시작했다.  연합뉴스
2011년부터 2017년까지 6년간 사법부를 이끌었던 양승태 전 대법원장이 24일 사법행정권 남용 혐의로 구속됐다. 양 전 대법원장은 지난 2011년 9월 청와대에서 이명박 전 대통령에게 임명장을 받고 대법원장의 역할을 시작했다.
연합뉴스
이미지 확대
양 전 대법원장이 2014년 1월 청와대 신년인사회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과 건배를 하고 있다. 그는 상고법원 도입을 위해 박근혜 정부와 재판 거래를 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양 전 대법원장이 2014년 1월 청와대 신년인사회에서 박근혜 전 대통령과 건배를 하고 있다. 그는 상고법원 도입을 위해 박근혜 정부와 재판 거래를 했다는 혐의를 받고 있다.
청와대 사진기자단
이미지 확대
사법농단 의혹이 불거진 이후인 지난해 6월에는 경기도 성남의 자택 인근 놀이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재판 개입·거래, 판사 블랙리스트 의혹 등을 강력히 부인했다.  서울신문 DB
사법농단 의혹이 불거진 이후인 지난해 6월에는 경기도 성남의 자택 인근 놀이터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재판 개입·거래, 판사 블랙리스트 의혹 등을 강력히 부인했다.
서울신문 DB
“너무 완벽한 게 흠이라면 흠이다.” “강자에게 약하고 약자에게 강하다.”

직권남용 혐의 등으로 24일 구속 수감된 양승태 전 대법원장은 2011년 국회에서 열린 대법원장 후보자 인사청문회에서 극과 극의 평가를 받았다. ‘엘리트 판사’로 이름을 날렸던 양 전 대법원장은 부정적 평가를 한 증인에 대해 몹시 불쾌했을 것이다. 인사청문회 직전에도 그는 청문회에 출석한 증인들을 대기실로 모아 놓고 미국 요세미티 국립공원에서 트레킹하면서 겪은 무용담을 풀어놓았다고 한다. 증인들이 모두 자신을 긍정적으로 증언할 것이라는 자신감이 없다면 할 수 없는 행동이었다. 그런 그가 2017년 9월 퇴임사에서도 밝혔듯이 ‘뜻하지 않게´ 맡은 대법원장직 때문에 스스로를 무너뜨렸다. 1월 26일생인 그는 결국 71번째 생일을 이틀 앞두고 사법부 1인자에서 구치소에 갇히는 신세로 전락했다.

양 전 대법원장은 1970년 사법시험에 합격한 뒤 군법무관을 거쳐 1975년 판사가 됐다. 사법연수원 수료생 중 최고만 갈 수 있다는 서울민사지방법원에 당당히 입성한 그는 2005년 대법관에 임명되기까지 30년 동안 사법부 내에서 새로운 역사를 썼다. 동료 판사들이 서울과 지방을 오갈 때, 양 전 대법원장은 법원과 법원행정처에서 번갈아 근무하며 대법관으로 가는 승진 코스를 개척했다. 법원행정처에서의 경력만 8년이다. 대법원도 2005년 당시 양 전 대법원장을 대법관으로 추천한 이유로 재판 실무와 사법 행정에 탁월하다는 점을 높이 샀다. 다만 양 전 대법원장은 법원행정처에 처음 불려 갈 때도 “안 갔으면 좋겠다”는 의사를 피력했을 정도로 행정보다는 재판을 더 하고 싶어 했다고 한다.
이미지 확대
재판 업무에서 두각을 나타낸 건 1999년 서울중앙지법 파산부 초대 수석부장판사 때다. 당시 외환위기 여파로 도산 직전에 몰린 기업들이 사느냐, 죽느냐를 결정 짓는 막강한 권한을 쥐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그는 나름의 절차와 기준을 가지고 부실 기업들을 회생시켰다.

2001년 서울지법 북부지원장(현 서울북부지법원장) 시절, 그는 “남성 우선 호주 승계 등을 규정한 민법 조항이 남녀 차별을 조장하고 있다”며 위헌 소지가 있다는 점을 인정했다. 보수적인 법조계에서 소신 판결을 했다는 극찬이 쏟아졌다. 이듬해인 2002년 양 전 대법원장은 한국여성단체연합으로부터 ‘여성권익 디딤돌상’을 수상했다.

하지만 9년 뒤인 2011년 한국여성단체연합은 대법원장 후보자로 지명된 양승태를 반대하는 입장문을 발표했다. 사법부 독립 수호나 사법개혁 실천에 대한 의지가 의심스럽고, 대법원장으로서 갖춰야 할 인권 감수성과 사회적 소수자, 약자에 대한 이해가 부족하다는 이유를 들었다. 2003년 4차 사법파동 때 법원행정처 차장으로서 책임지고 물러나겠다고 했지만 번복한 것도 문제 삼았다. 또 1970년대 유신 시절 긴급조치 사건에 배석 판사로 참여해 유죄 판결을 내린 것도 논란이 됐다.

이런 우려에도 국회 청문회를 무사 통과한 양 전 대법원장은 본격적으로 상고법원을 추진했다. 이 과정에서 법원행정처를 활용한 의회 로비, 청와대와의 재판 거래 등 각종 불법 행위 등이 자행된 것으로 검찰 조사 결과 드러났다. 사법행정에 비판적인 글을 올린 판사에 대해 사찰을 하도록 지시했다는 정황도 포착됐다. 그동안 양 전 대법원장이 그토록 강조했던 재판의 독립과 법관의 독립은 말뿐이었던 것일까. 그는 2011년 청문회 당시 이런 얘기를 했다. “절대적 권력은 절대적으로 부패한다는 법언이 시사하는 바와 같이 권력분립의 원칙이야말로 민주주의의 기본적 징표라고 확신한다. 특히 사법의 독립 없이는 민주주의가 이뤄질 수 없다는 데에 신앙적인 믿음을 갖고 있다.”

말과 행동의 불일치가 불러온 비극은 개인의 몰락을 넘어 국가적 불행이 됐다. 제왕적 대법원장 시절의 사법 보수화와 관료화로 인한 폐해는 결국 국민들에게 돌아갔기 때문이다. 임지봉 서강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긴급조치 사건에서 유죄를 선고했다는 것만 봐도 얼마나 체제 순응적인지 알 수 있다”면서 “엘리트 법관으로서 사법부를 관료화시킬 수 있다는 우려가 현실이 됐다”고 말했다.

김헌주 기자 dream@seoul.co.kr
2019-01-25 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