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르스 두번째 퇴원환자 “독감보다 심하지 않았다”

메르스 두번째 퇴원환자 “독감보다 심하지 않았다”

입력 2015-06-08 16:35
업데이트 2015-06-08 16:3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열 40도까지 올랐지만 감기처럼 해열제로 해결”발열·기침환자 진료땐 의료진들 마스크 쓰면 좋을 것”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에서 완치돼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한 5번(50) 환자가 자신의 메르스 증상은 독감보다 크게 심하지 않았다며 이 바이러스에 대한 지나친 우려를 경계했다.

5번 환자는 8일 대한의사협회에서 열린 인터뷰에서 메르스의 증세에 대해 “독감 환자들이 호소하는 몸살 증상보다 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치료 과정에서 “열도 나고 근육통도 있어 한 3∼4일은 힘들었지만 5일째부터는 조금 열도 떨어지고 많이 회복된 걸 느꼈고, 일주일째부터는 증상이 거의 없었다”고 덧붙였다.

한때 체온이 40도가까이 오르기는 했지만 해열제로 금세 해결할 수 있었다는 설명이다.

그는 “처음 2∼3일 동안은 해열제를 먹지 않아도 될 정도의 미열과 근육통이 있었다”며 “최대 통증지수가 7이라면 3∼4정도로 심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다만, 설사 등 소화기 증세가 있어 식사를 하지 못하고 수액을 맞는 경우가 있었다며 소화불량은 메르스 바이러스를 몰아내기 위해 투여한 항바이러스제의 부작용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인터뷰가 진행되는 약 한시간여 동안 5번 환자는 단 한 번도 기침을 하지 않았다.

그는 48시간 간격으로 시행한 유전자 검사에서 두 차례 모두 메르스 바이러스가 발견되지 않았다.

이 환자는 “내 경험을 통해 보면 기저질환이 없다면 메르스는 우리나라 의료진의 수준이 높아 치료될 수 있을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5번 환자를 진료한 국가지정격리병상의 주치의는 “초반에는 근육통이나 설사 등이 심해 한 2~3일은 식사를 못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열도 내리고 목 아픔 등이 정상화됐다”고 밝혔다.

이 주치의는 “5번 환자는 기저질환이 없어 평소 건강했고, 치료에 반응을 잘한데다, 증상이 발현되자마자 바로 검사와 치료를 받아 경과가 좋았다”고 강조했다.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한 5번 환자는 “아픈 것보다도 격리병상에서 스마트폰 등으로 바깥소식을 접하면서 병원에 대한 루머에 내가 해명할 수 없다는 것이 더 힘들었다”고 토로했다.

그가 메르스를 치료하는 동안 의사이기도 한 이 환자가 운영하는 서울 천호동의 365열린의원에는 엄청난 변화가 찾아왔다.

동네에서 메르스 발병 병원으로 소문이 난 것으로는 모자라 당국이 이 병원을 메르스 발병 병원으로 공식 발표한 것이다.

하지만 이 환자는 “(메르스가 발병한) 병원명 공개는 반드시 필요하다”며 병원명 공개에 대해 뜻밖의 의견을 밝혔다.

병원 운영에 심각한 타격이 있지 않겠느냐는 질문에는 “병원은 병원이고, 해야 할 일은 해야 할 일”이라는 답이 돌아왔다.

이날 퇴원한 5번 환자는 최초 환자(68)가 평택성모병원을 떠나 삼성서울병원으로 가기 전 그를 진료한 의사다.

당시 1번 환자는 평택성모병원에서도 폐렴 증상이 낫지 않자, 5번 환자가 운영하는 365열린의원에 들렀다.

당시 5번 환자는 1번 환자와 50㎝도 되지 않는 거리에서 10분 이상 진료를 했다고 한다. 환자와 의사 모두 마스크를 쓰지 않은 상태였다.

5번 환자는 1번 환자가 메르스 환자라고는 전혀 생각하지 못했다. 이 일이 있기 전에는 보건 당국 등에서 메르스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한 적도 없고, 메르스라는 질병이 있는지조차도 몰랐다는 설명이다.

그는 “메르스라는 것에 대해 무지했던 것은 저희의 문제였다”며 1번 환자에 대해 적절한 조치를 하지 못했던 점을 시인했다.

이어 “모든 병원이 밝혀졌기 때문에 해당 병원들과 직간접적으로 관련이 있고, 증상이 나타나면 보건 당국에 바로 연락해 검사할 수 있다”며 병원 공개의 장점을 설명하고 격리자·의심환자들이 서둘러 보건당국에 신고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또 “열이 나거나 기침하는 환자를 진료할 때는 의료진이 마스크를 쓰는 것이 좋을 것”이라는 의견을 밝혔다.

365열린의원에서 메르스 확진 받은 의사가 환자들을 진료했다는 등 근거 없는 루머를 직접 해명할 수 없어 안타까웠다며 “확진받자마자 격리병상으로 왔는데 어떻게 진료를 할 수 있었겠느냐”며 황당해했다.

자신이 피해자가 될 수 있는데도 병원명 공개에 동의한 그는 “환자들을 위해 병원뿐 아니라 병원 건물 전체를 소독한 것으로 안다”며 “다음주쯤부터 병원을 열 계획이지만 환자들이 올지 모르겠다”며 소박한 웃음을 내비쳤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성심당 임대료 갈등, 당신의 생각은?
전국 3대 빵집 중 하나이자 대전 명물로 꼽히는 ‘성심당’의 임대료 논란이 뜨겁습니다. 성심당은 월 매출의 4%인 1억원의 월 임대료를 내왔는데, 코레일유통은 규정에 따라 월 매출의 17%인 4억 4000만원을 임대료로 책정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 성심당 측은 임대료 인상이 너무 과도하다는 입장을, 코레일유통은 전국 기차역 내 상업시설을 관리하는 공공기관으로 성심당에만 특혜를 줄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 임대료 갈등에 대한 당신의 의견은?
규정에 따라 임대료를 인상해야 한다
현재의 임대료 1억원을 유지해야 한다
협의를 통해 적정 임대료를 도출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