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무성·최경환, 메르스 조율…냉각 당정협의 복원되나

김무성·최경환, 메르스 조율…냉각 당정협의 복원되나

입력 2015-06-07 16:48
업데이트 2015-06-07 16: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金대표, ‘4+4 회동’ 앞서 崔 총리대행과 발표 내용 사전협의 與, 당정협의 제안 검토…”필요한 연락은 계속하고 있다”

정부와 정치권이 중동호흡기증후군(메르스) 추가 확산 방지를 위한 총력대응 체제에 나선 가운데 이를 계기로 당·정·청 대화 채널이 정상화할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사실상의 국가위기사태를 맞아 여야가 ‘초당적 협력’을 선언한 마당에 여권이 유기적으로 협력해 국민불안을 해소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데 따른 것으로, 이미 당·정간 관련 협의는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새누리당 김무성 대표는 7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메르스 대책 마련을 위한 여야 4+4 회동’에 앞서 최경환 국무총리 대행과 전화통화를 하고 정부와 여야의 메르스 대책 발표 시간과 내용 등을 조율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원유철 정책위의장도 최근 정부 당국 고위관계자와 수차례 통화하면서 정부의 메르스 대책을 듣고 정치권에서 협력할 부분을 논의하는 등 사실상 당·정 협의를 진행한 것으로 전해졌다.

김영우 당 수석대변인은 이날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당·정간) 공식회의가 없다고 소통이 전혀 없는 것은 아니다”면서 “당·정 협의가 완전히 중단된 것은 아니라고 본다”고 말했다.

여권의 정책논의 공식채널인 당·정 협의회와 당·정·청 회의는 최근 국회법 개정안 처리와 관련해 청와대가 새누리당 원내 지도부에 강한 불만을 표시하면서 ‘당정협의 회의론’을 피력한 지난 2일 이후 중단된 상태다.

특히 새누리당이 이튿날인 3일 메르스 방역대책을 위한 긴급 당·정·청 회의 개최를 요구했으나 청와대는 “메르스 수습이 중요한 만큼 회의를 여는 게 현재로선 도움이 되지 않을 것”이라며 거부했었다.

그러나 여권 내에서는 당·정·청이 ‘물밑 조율’을 계속하는 것과 별개로 공식석상에서 협의하는 모습을 보여줄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이어지고 있어 조만간 공식 대화가 재개될 것이라는 기대섞인 관측도 나오고 있다.

실제로 원 정책위의장은 이날 연합뉴스와의 전화통화에서 “국회 메르스 대책 특별위원회(가칭)가 구성되는 만큼 앞으로 필요하면 (공식적으로) 당정 협의를 할 것”이라면서 “필요한 연락은 계속하고 있다”고 말했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당·청간 갈등의 골이 깊어서 당장 재개될지는 미지수”라면서 “관건은 무엇보다 청와대의 의지”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