故 김영삼 전 대통령(1927∼2015) 연보

故 김영삼 전 대통령(1927∼2015) 연보

입력 2015-11-22 01:11
업데이트 2015-11-22 01: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영삼(YS) 전 대통령이 22일 0시21분 향년 89세를 일기로 서거했다.

다음은 김 전 대통령의 출생에서부터 서거까지 연보.

▲1927년 12월20일 경남 거제시 장목면 외포리 출생

▲1947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 입학

▲1951 서울대학교 문리과대학 철학과 졸업. 장택상(張澤相) 국회부의장 비서관으로 정계 입문. 손명순 여사와 결혼(슬하에 2남 3녀 둠)

▲1954 제3대 국회의원 선거에 출마해 거제에서 만25세 최연소 국회의원 당선(이후 5,6,7,8,9,10,13,14대 등 국회의원 9선). 3선 개헌에 항의해 자유당 탈당. 민주당 창당 참여

▲1958 제4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에 출마했다 낙선

▲1960 어머니 박부련 여사 북한 고정간첩에 의해 사망. 제5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에 출마해 당선

▲1963 군정연장 반대집회·가두시위로 서대문형무소에 23일간 수감. 제5대 대선에서 윤보선 후보 당선을 위해 민정당 대변인 활동. 제6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에 출마해 당선

▲1964 민중당 창당 참여

▲1965 민중당 원내총무 선출(최연소 원내총무)

▲1967 신민당 창당 참여. 신민당 원내총무 선출(5년간 5선, 최다선 원내총무). 제7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에 출마해 당선

▲1969 박정희 대통령 3선개헌 반대투쟁 주도하다 초산테러 당함

▲1970 40대 기수론 제창. 제 7대 대선 신민당 대통령후보 지명대회 출마

▲1971 제8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에 출마해 당선

▲1972 유신 선포에 미국에서 급거 귀국해 가택연금 당함. 반유신투쟁 전개

▲1973 제9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에 출마해 당선. 김대중 납치사건에 대해 대정부질의에서 박정희정부 테러행위 규탄

▲1974 신민당 총재 선출(만45세 최연소 야당총재)

▲1975 박정희 대통령과 여야 영수회담

▲1978 제1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에 출마해 당선

▲1979 신민당 전당대회에서 총재로 재선출. YH 여공 신민당사 농성 때 경찰에 강제 연행. 법원 결정에 의해 신민당 총재 직무집행 정지. 국회의원직 제명

▲1980 전두환 신군부에 의해 3년간 불법 가택연금 시작

▲1981 민주산악회 발족

▲1983 민주화 요구 단식투쟁(23일간)

▲1984 민주화추진협의회(민추협) 발족. 민추협 공동의장에 추대

▲1985 신한민주당 상임고문으로 추대. 민족문제연구소 설립

▲1986 대통령 직선제 개헌 1천만 서명운동 전개

▲1987 신한민주당 탈당 후 통일민주당 창당. 6월 민주시민항쟁 주도. 통일민주당 총재. 제13대 대통령선거 출마(2위로 낙선)

▲1988 통일민주당 총재.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에서 부산에 출마해 당선

▲1989 한국 정치인 최초로 소련 방문

▲1990 민주정의당-통일민주당-신민주공화당 3당 합당 선언. 민주자유당 대표최고위원으로 추대

▲1992 제14대 국회의원 선거에 전국구로 출마해 당선. 민주자유당 총재. 민주자유당 대통령후보 선출. 국회의원직 사퇴로 38년간 의정활동 마감. 제14대 대통령선거에서 당선

▲1993 대통령 취임

▲1995 신한국당 총재

▲1998 대통령 퇴임

▲2003 유석 조병옥 박사 기념사업회 명예회장

▲2004 북한민주화동맹 명예위원장

▲2008 한국티볼협회 총재

▲2011 범국민안보공감캠페인 명예위원장

▲2015.11.22 서거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