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미국 금리 계속 오를것…투자 리스크 줄여야”

“내년 미국 금리 계속 오를것…투자 리스크 줄여야”

입력 2015-11-10 13:58
업데이트 2015-11-10 13:5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엔디 시에 “중국 성장 정책이 글로벌 악순환 초래”

중국 경제 전문가로 모건스탠리 아태담당 수석 이코노미스트를 지낸 앤디 시에 박사는 미국의 금리가 내년에는 계속 오를 것이라며 투자자들에게 리스크를 줄이라고 조언했다.

시에 박사는 10일 여의도 하나금융투자 본점에서 열린 ‘2016년 리서치 전망 포럼’에서 “투자자들에게 2016년은 굉장히 어려운 한 해가 될 것”이라며 “저라면 리스크를 완화해 안전한 지대로 이동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변동이 심한 하이테크 분야의 투자를 늘리는 도박은 하지 않을 것”이라면서 “성장을 좇는 것은 내년 투자 전략으로 바람직하지 않고 오히려 고정적인 수입이 내년 투자의 열쇠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그는 “미국의 경기 회복 속도가 기대보다 빨라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금리를 더 올릴 것”이라면서 “미국 금리는 계속해서 오를 것”이라고 전망했다.

시에 박사는 12월로 예상되는 미국 금리 인상의 이유를 미국과 유럽에서 금융위기가 발생한 2008년에서 찾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당시 미국 연준은 4조 달러 이상을 풀어 통화를 확대했지만 서구권에서는 유동성이 늘지 않았고 성장률도 3% 대에 그쳤다.

대신 늘어난 자금 대부분이 중국 등 신흥시장으로 유입되면서 중국의 외환보유고는 4조 달러로 증가했고 중국 내 투자 붐이 발생했다 게 그의 분석이다.

결국 국내총생산(GDP) 대비 50%에 달하는 중국의 과잉투자로 원유, 철광석 등 원자재 가격이 크게 올라 선진국에서 신흥국으로 소득이 재분배됐다.

그러나 높은 원자재 가격과 중국의 과잉 투자 트렌드는 2년 전부터 바뀌기 시작해 중국의 투자는 둔화되기 시작했고, 이는 원자재 가격 하락과 신흥국의 경기 불황으로 이어졌다고 시에 박사는 분석했다.

그러면서 그는 “그럼에도 중국 정부는 관치 금융을 통해 기업의 고성장 정책을 유지해 일반 소비자들의 가처분 소득이 갈수록 떨어지고 있다”고 덧붙였다.

시에 박사는 중국의 과잉 투자와 정부 주도의 경기부양 정책으로 세계 경제가 선진국과 신흥국의 호황과 불황이 서로 교차하는 악순환이 이어지고 있다면서 “중국 정부가 작은 정부를 지향하고 통화가치를 평가절상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